안전경영 투명 공개…해운업계 ‘안전투자 공시제도’ 시범사업 확대

- KOMSA, 2차 시범사업 본격 추진…20개 선사 참여로 규모 두 배↑

- KOMSA, 2차 시범사업 본격 추진…20개 선사 참여로 규모 두 배↑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이사장 김준석)은 오는 7월 26일부터 해운업계의 안전경영을 국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는 ‘안전투자 공시제도’의 현장 안착을 위해 제2차 시범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안전투자 공시제도는 「해사안전기본법」 제16조에 근거해 해운선사가 선박 안전관리, 인적자원, 안전품질 관리 등에 대한 투자 내역을 공개하도록 한 제도로, 국민과 업계 전반에 안전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단은 해양수산부로부터 전문기관으로 지정돼 시범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 2024년 11월에 개최한 해사안전투자 공시제도 시범사업(1차) 관계자 워크숍 전경 / 사진=KOMSA

이번 2차 시범사업에는 여객운송사업자 8개사와 화물운송사업자 12개사 등 총 20개 선사가 참여한다. 이는 지난해 8개 선사가 참여했던 1차 시범사업 대비 두 배 이상 규모가 확대된 것이다.

공단은 오는 2026년 제도가 본격 시행되면 약 80여 개 해운선사가 공시 의무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5월부터 참여 선사들을 대상으로 주요 공시 항목별 작성 방법을 안내하고, 현장의 의견을 반영해 연내에 ‘안전투자 공시 가이드라인’을 발간할 계획이다.

또한 공단은 시범사업과 함께 전자 공시시스템도 구축해 선사들이 손쉽게 온라인으로 자료를 등록·공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온·오프라인 홍보 채널도 연계해 제도의 조기 정착을 돕는다.

김준석 KOMSA 이사장은 “안전투자 공시제도는 단순한 정보 공개를 넘어 선사의 안전경영 수준을 국민과 공유하고, 업계 전반의 안전문화 확산을 유도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수요자 중심의 실효성 있는 제도 운영으로 국민과 업계 모두 체감할 수 있는 안전 문화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