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속 낙동강 녹조 대응 총력…환경부 “안전한 수돗물 공급 최우선”

- 조류경보 관심단계로 하향…폭염·고온에 대비해 차단막·고도정수 강화

- 조류경보 관심단계로 하향…폭염·고온에 대비해 차단막·고도정수 강화



환경부(장관 김성환)는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녹조 대응 상황점검회의’를 열고 낙동강 등 주요 하천의 녹조 관리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손옥주 환경부 물관리정책실장 주재로 국립환경과학원, 유역·지방환경청, 한국수자원공사 등이 참석해 기관별 녹조 대응 현황과 향후 계획을 점검했다.

24일 기준으로 강정고령(대구 달성군) 구간의 조류경보는 관심단계로 하향되는 등 최근 전국적인 강우로 하천 내 녹조 발생은 다소 줄었다. 그러나 장마가 끝나고 연일 폭염이 이어지면서 녹조 심화 우려는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24일 낮 최고기온은 36℃를 기록했고,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경보가 발효 중이다.

환경부는 하천 오염원 차단을 위해 지자체와 합동으로 하천변 공유지에 야적된 퇴비를 수거하고 덮개를 설치했으며, 오수처리시설과 가축분뇨처리시설 등을 집중 점검하고 있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공유지 야적퇴비 405곳, 개인하수처리시설 2,945곳, 가축분뇨시설 약 2,000곳이 점검을 마쳤다.

주요 취수장 인근에는 조류차단막을 설치해 녹조 유입을 차단하고, 필요 시 댐·보 연계 방류와 전국 35대의 녹조제거선을 투입해 녹조를 신속히 저감할 방침이다. 정수장에서는 활성탄 흡착과 오존 처리 등 고도정수처리를 강화해 수돗물 안전성도 높이고 있다.

손옥주 물관리정책실장은 “전국적인 강우로 녹조가 일시적으로 줄었지만 8~9월에도 고온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신속한 녹조 저감과 취·정수장 관리를 통해 국민이 안심하고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