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에 '쉬리'가… 청계천 생태 매력공간으로 되살리다

- 최근 국립중앙과학관 협력 어류종 다양성 조사서 건강한 물에만 사는 ‘쉬리’ 발견돼
- 피라미‧참갈겨니‧돌고기‧밀어‧줄몰개 등 다양한 어종 고르게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

- 최근 국립중앙과학관 협력 어류종 다양성 조사서 건강한 물에만 사는 ‘쉬리’ 발견돼
- 피라미‧참갈겨니‧돌고기‧밀어‧줄몰개 등 다양한 어종 고르게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




서울시설공단(이사장 한국영, www.sisul.or.kr)은 청계천에서 2급수 이상의 깨끗한 물에서만 서식하는 민물고기 ‘쉬리’가 발견됐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발견은 청계천이 친환경 도시 하천으로 성공적으로 복원돼 생태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긍정적인 신호로 평가된다.

청계천은 청계광장에서 중랑천 합류부까지 연장 8.12km에 이르는 도시 하천으로, 지난 2003년~2005년 대대적인 복원 공사를 거쳐 조성됐다. 쉬리는 수질에 민감한 어종으로, 2급수 이상의 깨끗한 물에만 서식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하천 생태계가 얼마나 건강한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꼽히는 생물이다.



공단은 올해 청계천 복원 20주년을 맞아 국립중앙과학관과 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지난 2월 양 기관은 청계천 생물 다양성 보전과 학술 연구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번에 발견된 쉬리도 그 협력의 결과로, 서울시설공단과 국립중앙과학관이 함께 진행한 조사 과정에서 찾아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계천 상류에서는 피라미․참갈겨니․돌고기․밀어․잉어․붕어․버들치․참붕어 등이, 중류에서는 쉬리를 포함해 돌고기․줄몰개․모래무지․가물치․향어 등이 확인됐다. 중하류에서는 향어․참마자․얼룩동사리․갈문망둑 등이 발견되며, 청계천 전 구간에 걸쳐 다양한 어종이 고르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원 20년을 맞은 청계천은 곳곳에 작은 서식지 조성 등 지속적인 수질 관리로 수생태계가 향상되어 왔다. 쉬리는 2019년 공단의 어류 생태 모니터링과 2022년 서울시의 한강 생태계 조사에서도 발견된 바 있다. 이는 청계천의 물이 더 깨끗해졌고, 다양한 생물이 살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가치 있는 결과로 볼 수 있다.

한국영 서울시설공단 이사장은 “청계천을 도심 속에서 생태와 환경이 공존하는 건강한 하천으로 운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수질 관리와 생태환경 보전 활동을 통해 청계천을 서울의 대표적인 매력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