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평균 사고 32척, 비중 1%대…공공운항관리 전환 이후 사고 꾸준히 감소
최근 10년간 연안여객선을 이용하다 해양사고로 사망하거나 실종된 사례가 단 한 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안여객선 운항관리 공공 전환 이후 제도 개선과 첨단 기술 도입이 현장에 뿌리내린 결과라는 평가다.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이사장 김준석)이 해양교통안전정보시스템(MTIS)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5년부터 올해까지 최근 10년간 연안여객선 해양사고 선박은 총 324척으로 전체 해양사고 선박(3만766척)의 약 1.05%에 그쳤다. 연평균으로는 약 32척 꼴이다.

사고 유형별로는 기관손상(24.1%)이 가장 많았고, 충돌(15.4%), 운항저해(14.2%), 부유물 감김(12.3%) 순이었다. 사고는 매년 감소 추세를 보여 2015년 전체 해양사고 중 1.7%였던 연안여객선 사고 비중은 지난해 0.8%까지 떨어졌다. 2014년 세월호 참사 직후 2.4%였던 비중과 비교하면 10년 만에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특히 이 기간 연안여객선 해양사고로 인한 사망·실종자는 단 한 명도 없었다. 같은 기간 부상자는 128명이었고, 이 가운데 54.7%는 좌초 사고로 발생했다.
연안여객선은 연간 1,300만 명이 이용하는 섬 주민과 관광객의 ‘해상 대중교통’으로 꼽힌다. 공단은 2015년 7월 민간(해운조합)에 맡겨졌던 운항관리 기능을 공공으로 전환한 뒤 운항관리 인력을 두 배로 늘리고, 출항점검·여객·화물 관리 체계를 대폭 강화했다. 구명설비 기준과 선원 자격요건도 높였다.

ICT 기반 전자승선관리시스템과 전산발권, 신분증 확인, 화물 계량 의무화 등 제도도 현장에 안착했다. 전국 연안여객선에 지능형 CCTV, 기상 데이터 시스템, 3D 맵핑 드론을 활용한 항로 점검 등 첨단 기술도 속속 도입됐다.
김준석 KOMSA 이사장은 “지난 10년간 중대 인명피해 없이 안전운항이 가능했던 것은 현장 종사자와 국민 모두의 노력 덕분”이라며 “앞으로도 안전운항 관리에 최선을 다해 연안여객선이 국민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바닷길 대중교통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