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 13개월간 해양생태종합조사 추진…보전·이용 균형 정책 기반 마련
부산시는 8일 시청에서 ‘해양생태종합조사 연구 용역’ 착수보고회를 열고 본격적인 조사에 들어갔다. 이번 보고회는 과업 추진 방향과 일정 공유, 전문가 자문 및 질의응답으로 진행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 5월 제정된 「부산광역시 해양생태계 보전 및 관리에 관한 조례」에 따른 첫 번째 종합조사로, 부산연안 생태계 보전과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이 목표다. 주요 과업은 ▲부산연안 해양환경 및 해역 조사 ▲해양생태계 종합 조사 ▲개발·이용 현황 조사 ▲생태계 평가 및 정책 제안 등이다.
연구는 내년 9월까지 13개월간 진행되며, 갯벌·연안·암반 생태계를 포함한 현장 및 문헌조사를 통해 플랑크톤, 어류, 해조류, 대형저서동물 등 다양한 생물 군집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부산연안 생태계의 건강도를 진단할 예정이다.
부산연안은 해양생물 다양성이 높고 해양보호생물이 다수 서식하는 지역으로, 남해도서생태보전축·동해안생태보전축·기후변화관찰축이 교차하는 국내 유일의 해역이다. 이곳에는 오륙도와 남형제섬, 나무섬 주변해역 등 3곳의 해양보호구역과 낙동강하구 습지보호지역이 포함돼 생태적 가치가 크다.
조사 결과는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보전·관리 방안 수립, 해양보호구역 확대, 국가해양생태공원 지정 지원 등 정책 마련의 기반으로 활용된다.
박근록 부산시 해양농수산국장은 “이번 종합조사는 부산연안의 해양생태계를 과학적으로 진단하고, 보전과 이용의 균형 있는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중요한 출발점”이라며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연안 해양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확보하고 시민과 함께하는 지속 가능한 해양생태 도시 부산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