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 다이아몬드 해역, 인공어초 확충으로 수산자원 거점화

- 인공어초·수산종자 방류 확대… 관광·어업 소득 증대 기반 마련

- 인공어초·수산종자 방류 확대… 관광·어업 소득 증대 기반 마련



신안군이 다이아몬드 해역을 해양 관광과 어업 소득 증대의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9월 1일 다이아몬드 해역 내 수산생물의 산란 및 서식 공간을 확대하기 위해 인공어초 68개를 추가로 투하했으며, 오는 10월에는 107개를 더 설치할 계획이다.


▲ 조피볼락 산란 서식장 조성에 투하되는 인공어초 사진=신안군 제공

이번에 투하된 인공어초는 해역 특성과 수산생물의 은신처 제공, 해조류 부착 표면적 평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수산자원 산란·서식장 관리위원회가 최적 모델로 선정한 것이다. 신안군은 2022년부터 5년간 90억 원을 투입해 쥐노래미, 조피볼락 등 주요 어종의 산란·서식장을 조성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1,027개의 인공어초를 투하하고 130만 마리의 수산종자를 방류했다.


▲ 조피볼락 산란 서식장 조성에 투하되는 인공어초 제작 전경. 사진=신안군 제공

신안군은 오는 11월 해양수산부 공모 사업 참여를 위해 2026년도 볼락류 산란·서식장 조성(50억 원)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신청을 준비하고 있다. 이를 통해 다이아몬드 해역의 자원 관리와 활용 기반을 더욱 확대할 방침이다.

김대인 신안군수 권한대행은 “인공어초 투하와 수산종자 방류를 통해 다이아몬드 해역이 지속 가능한 수산자원 공급 거점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이를 기반으로 낚시 관광객 유입을 확대하고 어업인들의 소득을 증대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신안군은 2019년부터 현재까지 다이아몬드 제도 해역에 전복, 해삼, 감성돔, 쥐노래미 등 5종 218만 마리의 수산종자를 방류하고 2,655개의 인공어초를 투하하며 수산자원 회복과 해양생태계 조성을 위한 노력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