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연구소는 편식하지 않았습니다

- 극지연구소, 20년간 3,263편 논문…분야 편중 없이 균형 성과
- 생명·기후과학 비중 높고 지구·해양과학도 고른 성장…아라온호·장보고기지 연구 성과 견인

- 극지연구소, 20년간 3,263편 논문…분야 편중 없이 균형 성과
- 생명·기후과학 비중 높고 지구·해양과학도 고른 성장…아라온호·장보고기지 연구 성과 견인



극지연구소가 개소 이후 특정 분야에 치우치지 않고 기후·생명·지구·해양과학 등 다양한 극지 연구 성과를 고르게 쌓아온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소는 14일 발간한 ‘2024년 초록집’에서 개소 20년간 국제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 3,263편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초록집은 매년 연구소 소속 연구원의 전년도 논문 초록을 모아 발간하는 연구성과집으로, 올해는 개소 20주년을 맞아 누적 자료 분석을 추가했다. 분석에 따르면 2004년 개소 이후 지난해까지 연평균 160여 편의 논문이 발표됐다. 2012년에 처음 세 자릿수를 기록했고, 2016년에는 200편을 넘어서며 증가세를 보였다. 이는 쇄빙연구선 아라온호(2009년 출항)와 남극 장보고과학기지(2014년 준공) 등 연구 인프라 확충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연구 분야별로는 생명과학 약 1,100편(36%), 기후과학 약 900편(28%)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지구과학과 해양과학도 각각 500편 수준으로, 연구소가 분야 편중 없이 극지 환경 연구를 병행한 것으로 분석됐다. 기술·정책 분야는 최근에 시작돼 통계적 의미는 제한적이었다.

극지연구소는 해양수산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 과학기지와 쇄빙연구선 운영을 통해 국내외 연구자에게 연구 기회를 제공하고 직접 극지 자연환경과 변화 양상을 조사해 국가 극지과학 역량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초록집은 2014년부터 매년 발간되며, 전체 내용은 극지연구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신형철 극지연구소장은 “극지연구소라는 이름으로 펴낸 지난 20년간의 논문은 수량의 기록을 넘어, 우리가 편식하지 않고 고르게 성장해왔다는 증거”라며 “급변하는 극지 환경 속에서 위기를 기회로 바꾸기 위한 융합 연구가 더욱 중요해지는 만큼, 앞으로도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지질변동 등 다양한 영역에서 다학제적 해답을 찾아가겠다”고 전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