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에 조선업 최종 선정, ‘전국 최다 쿼터 확보’
- 우수인력 도입, 비자발급 지원 위한 ‘경남 비자지원센터’ 공모 추진
경상남도(도지사 박완수)는 23일 법무부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 공모에서 조선업 직종이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지난달 2일 기계, 금속재료 부품, 정보기술(ICT) 분야 등 21개 직종이 우선 선정된 데 이어, 조선업 분야 3개 직종(조선용접공, 선박도장공, 선박전기원)이 추가로 확정됐다.
이에 따라 경남도의 쿼터는 2년간('25~'26년) 670명으로, E-7(특정활동) 선정 시도 중 가장 많이 확보해, 지역 산업 특성에 적합한 해외인력을 더 효율적으로 도입·지원할 수 있게 됐다.
경남 광역형 비자의 조선업 도입기준은 현지 기량 검증을 강화하고 기존 해외 학력·경력요건을 완화했다.
도내 조선업체와 협력하여 마련한 기량 검증 평가 기준으로 우수한 외국인력을 선별해 도입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실행방안으로 △조선 용접공은 용접 포지션 추가 △선박 도장공은 가상현실(VR) 기반의 선박 도장 평가 수행 △선박 전기원은 현장 과업 중심의 커리큘럼·평가 기준을 적용한다.
앞으로는 기존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발급하던 조선업 고용추천서, 근무처 변경 지원을 도에서 직접 하게 된다.
광역형 비자를 비롯한 지역 맞춤형 비자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해외 우수인력 선발부터 비자 발급, 사후관리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경남 비자 지원센터(가칭)를 운영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1회 추경으로 사업비를 확보했고, 관련분야에 전문성과 공공성을 갖춘 비영리법인 등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할 방침이다.
또한 광역형 비자 체류자와 그 가족이 1년 내 사회통합프로그램 2단계 이상 이수하면 교육비 전액을 환급하는 등 안정적인 지역 정착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도 시행할 계획이다.
6월 중으로 법무부와 광역형 비자 체류자격 매뉴얼 구체화 등 세부 협의를 진행하고, 조선업 기량 검증 사전점검 등 준비 작업을 시행한다.
도는 민선8기 후반기 대표과제(복지, 동행, 희망)인 경남형 맞춤 비자 도입을 실현하기 위해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 공모 선정, 지역특화형 비자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조현준 도 경제통상국장은 광역형 비자를 효율적으로 운영해 도내 산업인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지역사회와 외국인력이 상생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