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자체 합동평가서 ‘응급환자 SAFE! 골든타임 SAVE!’ 혁신성과 인정
- 전담조직 확충 및 재정 확대, 응급실 내원 개선, 중증응급환자 신속 수용 등 성과
제주특별자치도가 섬 지역의 한계를 극복하며 맞춤형 응급의료체계 구축 첫해부터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제주도는 높은 경증환자 비율과 응급실 이용자 증가라는 구조적 문제, 그리고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이 더해져 의료자원 한계와 지역 간 의료격차라는 복합적인 의료 취약성을 안고 있었다. 이에 지난해부터 ‘제주형 응급의료체계 구축’에 역량을 집중해왔다.
먼저 지난해 2월 의료대란 위기 상황에서 제주응급의료지원단을 출범시키고, 보건정책과에 전담팀을 신설해 지역 응급의료 역량 강화 기반을 다졌다. 제주대학교병원을 거점지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해 16병상의 중증응급환자 전용 병상을 운영하는 한편, 40억 원을 투입해 제주국제공항 내 닥터헬기 격납고를 올해 상반기 준공할 예정이며, 서귀포의료원 옥상 헬리포트 설치도 연내 마무리할 계획이다.
특히 ‘제주형 이송·전원 핫라인’을 선제적으로 구축해 응급실 전원 지연 문제(일명 ‘응급실 뺑뺑이’)를 사전 방지했고, 병원별 치료 자원을 반영한 ‘이송 및 수용곤란 고지 관리 지침’ 시행, 긴급차량 우선 신호시스템 도 전역 확대 등을 통해 중증환자 이송 시간을 줄였다.
의료 취약지 해소에도 속도를 냈다. 서귀포 지역 첫 달빛어린이병원을 지정하고, 제주시 중부권에도 1곳을 추가해 소아 경증환자 수용 기반을 확충했다. 또 5대 중증응급질환(흉부·복부 대동맥 등) 분야에서 부족한 치료 역량을 보강하기 위해 전문의·심폐기사 당직 지원체계를 도입했다.
이 같은 노력으로 ‘제주형 이송·전원 핫라인’은 3,959건의 병원 선정을 지원했고, 병원 수용 환자 중 87.8%의 중증응급환자가 우선 배정을 통해 적기 치료 기회를 얻었다.
제주도는 전년 대비 100.1% 늘어난 199억4,000만원을 투입해 응급의료 인프라 확충과 지역 완결 응급의료체계 구축을 지원했으며, 중증도별 맞춤형 의료기관 이용 유도 결과 지난해 응급실 내원 환자와 경증환자가 전년 대비 감소하는 성과도 거뒀다.
이 같은 혁신 노력은 최근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에서 응급의료 분야 우수사례로 선정됐다. 680명의 국민평가단은 제주도의 ‘응급환자 SAFE! 골든타임 SAVE!’ 사례를 국민 체감형 우수사례로 꼽았다.
조상범 제주도 안전건강실장은 “섬이라는 지리적 한계를 고려해 협력 기반의 운영체계를 구축하고 체계적으로 시책을 마련·추진한 결과”라며 “앞으로도 도민이 신뢰할 수 있는 현장 중심 시책으로 생명 안전 섬 제주를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