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MO 중기조치·자율운항선박 코드 논의… 전문가 80명 모여 전략 마련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5월 8~9일 이틀간 충남 천안에서 ‘제21차 국제해사협의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국제해사협의회’는 국제해사기구(IMO)의 안전·환경 의제에 참여하는 정부, 산업계, 학계, 유관기관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최신 동향을 공유하고 협업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2015년부터 매년 열려왔다. 이번 행사에는 약 80명의 전문가가 참석한다.
주요 논의 안건으로는 ▲지난 4월 IMO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에서 승인된 선박온실가스 감축 중기조치와 ▲자율운항선박(MASS) 비강제 코드 개발 동향이 다뤄질 예정이다.
IMO는 2050년까지 해운·조선 분야의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2027년부터 총톤수 5,000톤 이상 국제항해 선박에 강화된 온실가스 집약도 기준 준수를 요구한다. 또한 2026년 비강제 MASS 코드 채택, 2032년 강제 코드 발효를 목표로 자율운항선박 관련 규범을 개발 중이다.
우리나라는 지난 4월 29일 ‘제1차 한-영 해사안전 정책회의’를 통해 영국 교통부와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등, 중기조치 이행과 자율운항선박 기술에 대한 국제 협력 기반도 강화해왔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IMO를 중심으로 탈탄소화와 디지털 전환 논의가 빨라지는 중요한 시기에 우리나라의 전략적 대응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정부와 국제 전문가들이 긴밀히 협력해 해사 산업계 경쟁력 확보에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