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1동 리모델링 완료…귀촌·청년농 지원 주택으로 전환, 빈집은행도 신설 예정
해남군이 장기간 방치된 농촌 빈집을 실거주형 주택으로 재생하는 정책을 추진하면서, 지역 내 활력 회복과 인구 유입이라는 복합 효과를 거두고 있다. 단순한 정비를 넘어선 정주 기반 마련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재생된 빈집은 귀농‧귀촌인, 청년 농업인, 농촌유학 가족 등에게 최장 5년간 무상으로 제공되며, 올해부터는 월 1만 원 수준의 임대형 주택도 도입됐다. 자가 거주자나 신축형 주택을 원하는 경우에는 최대 3,000만 원, 임대형의 경우 최대 5,000만 원까지 정비비용이 지원된다.

특히 ‘작은학교 살리기 연계형 빈집사업’을 통해 지금까지 40가구가 해남군으로 이주해 정착한 사례도 있다. 이 정책은 단순히 주택 제공에 그치지 않고, 농촌 학교의 존립과 교육 공동체 회복에도 기여하며 인구 감소 문제의 대응책으로도 평가된다.
해양레저와 관련된 활용도 눈에 띈다. 북평면에서는 빈집 5동을 리모델링해 마을호텔로 조성하는 사업이 진행 중이다. 해당 사업은 주민이 직접 운영에 참여하고, 관광객 및 체류형 방문객을 위한 숙박시설로 제공될 예정으로, 지역경제에 새로운 흐름을 불러올 것으로 기대된다.
해남군은 올해 3월까지 전 읍면을 대상으로 빈집 전수조사를 완료해 총 1,235건의 빈집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향후 정비 대상지 선별과 정책 설계를 위한 기반 자료로 활용된다.
또한 내년부터는 빈집 매물 정보 제공과 민간 거래를 촉진하는 ‘농촌 빈집은행 지원사업’을 새롭게 도입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주민과 외부 수요자 간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실거주로의 전환을 지원할 방침이다.
군 관계자는 “빈집은 더 이상 방치의 대상이 아니라, 사람을 불러들이는 자산”이라며 “앞으로도 정주 기반을 확충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통해 ‘대한민국 농어촌수도 해남’을 실현해 가겠다”고 전했다.
ChatGPT에게 묻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