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PA 송상근 사장, 디지털 전환·탈탄소화 등 핵심 의제에 선도적 참여 의지 표명
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송상근)는 ‘글로벌 항만 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5월 21일(수), 23일(금) 각각 유럽 내 주요 국제협의체와 국제기구를 방문했다고 밝혔다.

먼저, 부산항만공사는 함부르크항만공사 사장이자 IAPH 총재인 옌스 마이어(Jens Meier)와의 면담을 위해 함부르크항만공사를 방문해서 최근 IAPH에서 중점적으로 추진 중인 디지털화에 대한 협력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부산항만공사는 세계은행(World Bank) 우수사례로 선정된 포트커뮤니티시스템(Port Community System)을 자체 구축·운영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디지털 전환 분야에서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함부르크항만공사 주도의 글로벌 항만협의체인 체인포트(chainPORT)에도 지속적으로 참여하며, 국제 디지털 항만 정책 논의에 기여할 수 있는 실무 경험과 기반을 갖추고 있다.
부산항만공사는 이번 면담에서 그간 축적해온 경험과 기술 역량을 기반으로, IAPH의 핵심 운영 위원회인 ‘데이터 협력위원회(DCC)’에서의 활동을 더욱 강화하고, ▲항만 사이버 보안 강화, ▲개도국 항만의 디지털 전환 지원, ▲IMO 해운 디지털 정책 논의 기여 등 주요 의제에 대해 IAPH와의 협력을 통해 선도적으로 참여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어 방문한 런던 IMO 본부에서는 하이커 데김(Heike Deggim) 환경국장과 조스 마테이컬(Jose Matheickal) 기술협력국장과의 간담회를 갖고, 해운·항만 부문의 탈탄소화 정책 방향과 국제 기준 마련 과정에서 부산항이 기여할 수 있는 역할과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최근 IMO의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83)에서 선박에 대한 탄소세 부과가 결정됨에 따라, 항만 역시 탄소감축의 책임 주체로서 더욱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이에 부산항만공사는 LNG·메탄올 등 차세대 연료공급을 위한 벙커링 인프라 구축 노력 등 친환경에너지 자립 전략을 소개하고, 개도국을 대상으로 한 기술 지원 방안도 함께 논의했다. 아울러 IMO의 탈탄소화 정책 기조에 맞춰 항만당국으로서 선제적이고 주도적으로 동참해 나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부산항만공사 송상근 사장은 “이번 방문은 부산항만공사가 국제 해운·항만 정책 형성에 책임 있는 주체로 도약하는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다.”라며, “앞으로도 국제 항만사회와의 연대와 축적된 협력 경험을 바탕으로 디지털 전환과 탈탄소화 등 주요 글로벌 의제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IAPH, IMO 등 국제기구, 항만협의체와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부산항의 ‘글로벌 항만 경영’을 강화해 나가겠습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