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해양생물자원관·국립수산과학원 공동 제작… 자원 확보·활용 현황 담아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최용석)과 국립해양생물자원관(관장 김현태)은 해양수산생명자원의 체계적인 확보·관리 및 활용 기반 마련을 위한 『2025 해양수산생명자원 통계자료집』을 공동 발간했다.
이 자료집은 2021년부터 매년 정기 발간되고 있으며, 해양수산생명자원에 대한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정책 수립과 산업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 있다.
올해는 전국 83개 유관기관을 대상으로 △자원 보유 현황 △분양 및 활용 실적 △전담 인력 △시설·장비 등을 조사했으며, 자원 분양 이후 논문, 특허 등의 연구성과를 정량적으로 추적한 정보를 처음으로 수록해 학술적·산업적 부가가치를 입증했다.
이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자원 분양으로 도출된 연구성과는 논문 14건, 특허 2건, 연구보고서 1건, 학술발표 2건 등 총 19건이다.
또한, 현재 국내에 기록된 해양수산생물 종수는 총 16,216종이며, 이 중 63.8%인 10,345종은 책임기관 또는 기탁등록보존기관을 통해 확보·관리되고 있다.
최근 5년간 자원 분양 누적 실적은 총 2,299건으로 집계됐고, 2024년 한 해에만 543건(대학 353건, 연구소 97건, 기업체 93건)이 분양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분양 자원의 81%는 해양생물 유래 배양체 및 추출물로, 관련 수요는 식품, 미용, 의약 등 기능성 바이오소재 산업의 원천소재로 활용되며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연구소 및 기업체의 분양 수요는 2023년 163건에서 올해 190건으로 약 17% 증가했다.
이번 자료집은 ▲수과원의 ‘수산생명자원정보센터’(https://www.nifs.go.kr/frcenter/main.html)와 ▲자원관의 ‘해양생명자원통합정보시스템’(https://www.mbris.kr)을 통해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최용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수산생명자원 책임기관으로서 자원의 확보부터 활용까지의 과정을 투명하게 제공하고, 조사·분석의 신뢰도를 높이며, 누구나 쉽게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확보 및 관리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