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공사] 기상기후 데이터 심화 세미나 개최

- AI 접목한 디지털 물관리 기술과 기후변화 대응 사례 공유

- AI 접목한 디지털 물관리 기술과 기후변화 대응 사례 공유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가 기상기후 데이터를 활용한 첨단 분석기술과 디지털 물관리 사례를 공유하며 기후위기 대응에 나섰다. K-water는 지난 10일 대전 본사에서 ‘2025 기상기후 데이터 활용 & 분석기술 심화 세미나’를 열고, 기상기후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AI) 분석기술과 환경 빅데이터 활용 방안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 2025년 7월 10일, 한국수자원공사 대전 본사에서 개최된 ‘2025 기상기후 데이터 활용 & 분석기술 심화 세미나’ 참석자들이 세미나 개최를 기념하고 있다. / 사진제공=수자원공사

이번 세미나는 K-water의 ‘환경 빅데이터 플랫폼’을 중심으로 데이터 개방과 활용 확대를 위해 2024년부터 추진 중인 ‘데이터 부가가치 창출 시리즈’의 세 번째 행사로, 한국기상산업기술원과 공동으로 진행됐다.

특히 올여름 전 세계적 폭염과 집중호우 등 기상이변이 잇따르면서 정확한 기상예보와 정밀한 기후변화 예측·대응 기술의 필요성이 더욱 커진 상황에서 개최됐다.

K-water는 이날 세미나에서 디지털트윈 기반 가상 홍수 시나리오 분석, 영상레이더를 활용한 수재해 모니터링 등 최신 디지털 물관리 기술과 함께 AI를 접목한 데이터 분석·시각화 사례를 소개했다. 환경 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한 기상기후 데이터의 대국민 개방 확대 방안과 기후위기 적응 이행 사례도 공유했다.

이어 카이스트 김형준 교수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정책 현황 및 과제’를 주제로 발표했으며, 국립기상과학원은 독자 개발한 초단기 AI 예보 모델 ‘알파웨더’를 공개했다. 기상산업기술원의 기상기후 산업 육성 프로그램과 민간의 기상·공간정보 융합 지도 서비스,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서비스 등 기상기후 데이터와 AI를 융합한 다양한 디지털 사업 모델도 소개됐다.

K-water는 기상청과 국립기상과학원과 함께 기상기후 데이터의 수요를 발굴하고 기술 교류를 확대해 첨단 물관리 기술 발전과 기후위기 대응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나아가 민간 서비스와 연계해 물산업 혁신 생태계 기반도 넓혀간다는 방침이다.

류형주 K-water 부사장은 “이번 세미나는 기상기후 데이터 활용과 AI 접목 성과를 점검하고 민관 협력 성과를 공유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며 “환경 빅데이터 플랫폼을 기반으로 기후위기 해법을 모색하고 AI 활용 기술을 실용화해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K-water가 운영 중인 ‘환경 빅데이터 플랫폼’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으로 2019년부터 구축·운영 중인 데이터 공유 플랫폼으로, 현재 2만 3천여 명의 사용자가 공공 및 민간 분야 데이터 1,149건을 10만 회 이상 활용하며 국내 대표 환경 데이터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관련기사